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isHttpsRedirect=true&blogId=definitice&logNo=60202440221
회귀분석에서 F-test할때 단측검정을 하는 이유
앞 포스트에서, (단순회귀분석의 경우) 계수의 유의성에 대한 T test와 모형의 적합성에 대한 F test는 ...
blog.naver.com
회귀모형이 의미가 업다는 것은 beta값들이 0이 된다는 것이고, 이 경우에는 SST=SSR+SSE에서 SSR이 작아지니 MSR/MSE로 정의 되는 F통계량도 작아지게 된다. 거꾸로 말하면, 모형이 의미가 있다면(beta값들이 모두 0이 아닌 경우), SSR이 커지므로 F통계량이 커질 것이다.
따라서, H_0가 맞다는 가정하에 극단적인 값(SSR이 커서 F통계량 값이 큰 것)이 나올 확률을 구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단측검정을 하는게 맞다는 결론이 나온다.
'학교공부 > 회귀분석실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LS (0) | 2024.05.29 |
---|---|
R에서 오차의 가정 검증 plot (0) | 2024.05.28 |
이상치와 영향점 (0) | 2024.05.28 |
studentized residual (0) | 2024.05.27 |